2025년 기준 전기요금 계산법, 가정용 요금 얼마나 나올까?
전기요금 고지서를 보면 항상 헷갈리는 숫자들… 누진제니 기본요금이니 복잡하기만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한국전력 전기요금 계산 방식을 간단하게 정리하고, 실제 전력 사용량을 바탕으로 요금을 직접 계산해보는 방법도 소개합니다.
1. 기본 전기요금 구조
2025년 가정용 전기요금은 기본요금 + 전력량 요금 + 부가세 + 기후환경요금으로 구성됩니다.
- 기본요금: 계약전력(kW) 기준, 대부분 3kW 이하(월 910원)
- 전력량요금: 사용량에 따라 단계별 부과 (누진제)
- 부가세: 전기요금의 10%
- 기후환경요금: 사용량 x 5.3원 (2025년 기준)
2. 누진제 구간 (2025년)
| 구간 | 사용량 (kWh) | 단가 (원/kWh) |
|---|---|---|
| 1단계 | 0~200 | 99.3 |
| 2단계 | 201~400 | 160.4 |
| 3단계 | 401 이상 | 210.6 |
3. 실제 사례로 계산해보기 (월 350kWh 사용 시)
아래는 4인 가정이 여름철 350kWh를 사용했을 때의 전기요금 계산 예시입니다.
- 기본요금: 910원
- 전력량요금:
- 1단계 (0~200kWh): 200 x 99.3 = 19,860원
- 2단계 (201~350kWh): 150 x 160.4 = 24,060원
- 전기요금 소계: 44,820원
- 부가세 (10%): 4,482원
- 기후환경요금 (350 x 5.3): 1,855원
총 전기요금: 약 52,067원
4. 쉽게 계산하는 팁
전기요금 계산이 복잡하다면, 한국전력 사이버지점의 전기요금 계산기를 이용해보세요.